광고
광고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애국/안보/보훈
국가보훈부, JTBC 보도 해명 "독립유공자 묘소 소재 파악∙안장관리 강화"
기사입력: 2024/09/16 [11:10]   월드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최인갑 기자

 국가보훈부가 독립유공자 묘소에 대한 소재 파악과 안장관리를 더욱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운영할 방침이다.

 

국가보훈부는 2024년 9월 16일 "수권 세대(손자녀) 이후 후손과의 연락체계를 만들어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한 국민제보를 확대하겠다"라며 "정기적인 조사를 시행해 독립유공자 산재 묘소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JTBC 뉴스는 2024년 9월 15일 '매년 성묘하는데 소재불명? 독립유공자 묘소 파악 못하는 보훈부'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뉴스에서 독립유공자 김교영 선생은 JTBC가 유족을 통해 확인하기 전까진 국가보훈부는 어디 안장돼 있는지도 모르고 있으며 전체 독립유공자의 절반이 묘소 위치조차 파악 안 되고 있다. 또 백영촌 선생(1990년 애국장)은 대전현충원과 대구신암선열공원에 각각 안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 "어디가 진짜 묘인지 확실하지 않다"라는 것이 국가보훈부의 입장이라며 기본적인 사실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보도에 대해 해명했다.

 

우선 김교영 지사 묘소와 전체 독립유공자 묘소 파악 관련해 국가보훈부는 "故 김교영 지사의 묘소 소재지 확인을 위해 2015년과 2020년 당시 수권자인 김 지사의 손녀 김○○ 씨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조사를 시행했지만 확인할 수 없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2년 수권자인 손녀 김○○ 씨가 사망해 후손과의 연락이 두절됐다. 이후 2024년 9월 9일 증손이라는 김△△ 씨로부터 묘소 위치를 제보받았다"라며 "묘소 위치 확인을 위한 현장 점검을 거쳐 사실 확인 절차를 거쳐 묘소 소재지 정보를 수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독립유공자 묘소에 대해 국가보훈부는 "2015년부터 매년 국립묘지 외에 안장된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전체 독립유공자 1만 8,000여 명 중 8,500여 명은 묘소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라며 "이유는 ▴후손 미확인으로 인한 미등록 ▴유족이 묘소를 모르는 경우 등의 이유로 묘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백영촌 지사에 대해 "故 백영촌 지사의 묘소가 신암선열공원(1964년)과 대전현충원(2012년)에 이중으로 있는 것은 2012년 유족의 신청에 따라 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할 당시 신암선열공원이 국립묘지로 승격(2018년 5월 1일 대구시→국가보훈부 이관)되기 이전이어서 시스템을 통한 이중안장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보훈부는 이번 보도를 계기로 이중 안장에 대한 조속한 시정조치와 함께 국립서울현충원의 국가보훈부 이관을 계기로 전국 12개 국립묘지에 대한 관리∙운영 체계를 세밀하게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국가보훈부는 이중으로 안장된 독립유공자에 대해 유족에게 사실관계를 추가 확인해 안장 신청 취소와 국립묘지 외 이장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국립묘지 안장자 현황 종합점검'을 통해 동일인에 대한 이중안장 여부를 확인하고 특히 이번 사안과 관련한 국립신암선열공원을 비롯해 최근 국가보훈부로 관리주체가 이관된 국립서울현충원(2024년 7월)에 대해서는 더욱 세심히 살핀다는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국가보훈부는 "향후 더욱 세밀한 주기적인 점검으로 유사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최인갑 기자 wsnews@daum.net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