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애국/안보/보훈
국가보훈부 '2024년 8월의 6‧25 전쟁영웅' 박두원 공군 대위 선정∙∙∙총 89회 전투 출격
기사입력: 2024/07/31 [10:11]   월드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최인갑 기자

 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6‧25 전쟁 당시 총 89회 전투 출격으로 혁혁한 공을 세운 故 박두원 공군 대위를 '2024년 8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했다.  

 

故 박두원 공군 대위는 재일학도의용군 출신으로 자원입대해 1952년 2월부터 8월까지 황해북도 송림제철소 폭격작전을 비롯해 총 89회에 달하는 전투 출격으로 많은 전공을 세웠다.  

 

1926년 7월 5일 경북 경주에서 출생한 박두원 대위는 1934년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갔다. 해방 조국에서 6‧25 전쟁이 발발했다는 소식을 접한 그는 자원 입대해 재일학도의용군 제5진의 일원으로 1950년 10월 18일 부산에 도착해 국군 제2훈련소에서 기초 훈련을 받고 헌병대에 배속됐다.

 

하지만 공군에서 조종사가 부족하다는 소식을 듣고 박두원 대위는 대구 공군본부를 직접 찾아가 입대를 청원했다. 1951년 4월 1일 육군에서 공군으로 전군해 조종하사관(일등중사) 신분으로 기초 조종 교육을 받았다. 1951년 10월 F-51D 전투기로의 기종 전환 교육을 받았다. 1952년 2월 1일 준위로 임관해 제1전투비행단 제10전투비행전대 강릉전진부대에 배속해 2월 3일 첫 전투 출격에 나섰으며 1952년 3월 공군소위로 임관했다. 

 

당시 우리 공군의 강릉전진부대는 전선의 소강상태를 이용해 전력을 비축하려는 공산군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박두원 대위는 F-51D 전투기로 출격해 적 후방 폭격 임무에 나섰다. 특히, 1952년 3월∙4월 진행된 송림제철소 폭격작전은 우리 공군이 최초로 수행한 적 산업시설에 대한 전략 폭격이었다. 그는 80회가 넘는 출격을 기록하며 강릉전진부대의 가장 왕성한 전투기 조종사 중 한 명으로 거듭났다. 

 

1952년 8월 2일 89회째 출격한 박두원 대위는 동부전선의 공산군 주요 보급집결지였던 강원도 간성 일대의 보급품 직접소를 목표로 작전에 돌입했다. 이날 편대는 전봉희 소령을 편대장으로 한 F-51D 전투기 4대로 편성했다. 강릉전진기지에서 이륙한 박두원 대위는 강원도 경포대주문진을 지나 속초 상공을 비행하던 중 갑자기 기체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기체에서 낙하산 탈출 후 동해바다에 내렸다. 주변의 민간 어선들에 의해 구조했으나 안타깝게도 이미 전사한 상태였다. 6‧25 전쟁에 자원한 '재일학도의용군' 중 유일한 공군 조종사였던 박두원 대위는 F-51D 전투기 조종사로서 전사한 17명 가운데 가장 많은 전투 출격 기록을 보유한 대한민국 창공의 영웅이었다.

 

정부는 수많은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그에게 대위로의 1계급 특진과 을지무공훈장(1952년)을 수여했다. 그의 유해는 1958년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됐다. 2014년에는 일본 도쿄 미나토구에 위치한 재일본대한민국민단본부에 '재일학도의용군 위령충혼비'가 건립되어 박두원 공군 대위를 포함한 135명의 전사자들을 추모하고 있다.

 

최인갑 기자 wsnews@daum.net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